반응형
교육과정이 묻는다.

선생님의 수업은 혁신적입니까?
나는 되묻고 싶다.
"왜 혁신적이어야 합니까?"
2009 교육과정에서는 steam교육과정,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인문적, 사회적, 과학적 측면의 지식과 기능을 융합하여 인재를 기르고자 했다. 현장에서는 취지는 좋으나 현장 적용성의 구체적 사례 및 연구 개발의 미비점을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2015 개정교육과정이 출범했다. 그럼 창의 융합형 인재는 사라진 것일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으로 여섯가지를 제시했다. 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 창의적사고 역량.
이 여섯가지를 통해 삶의 여러 과정이나 학습의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문제를 다양한 정보와 방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인재를 육성하고자 한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길 수 없는 영역이라던 바둑마저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이 이겨내 보였고, 사람들은 인공지능이 대체하게 될 직업군부터 찾고 조사를 하게 되었다.
'내 직업은 고연 미래에도 존재할까?'
'나는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가져야할까?'
인공지능과 과학, 지식정보처리를 강조하면서도 우리가 인공지능을 대하는 마음에는 그것에 대한 경계심이 가장 큰 듯 보인다. 
 
영화 '터미네이터'와 '아이로봇'처럼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고 공격하며, 지배하는 세상을 걱정하는 것일까.

교육과정은
다양한 관점으로, 다양한 정보를 통해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찾으라 한다. 그렇지만

정작 왜 그래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속 시원히 대답하지 못하고 있다.

수업의 설계단계부터 수업, 그리고 평가의 단계부터 학생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학생참여중심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학생이 주도를 하고, 참여를 하는 수업이란,
어떤 지식을 다루고, 어떤 평가를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왜" 그것을 해야하는지 필요성을
이해하게 만드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왜"
"그러니까 왜"
학생들이 묻게 해야 하고, 그 물음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가 정성들여 과제를 준비하고, 수업을 준비해서 학생들에게 밥상을 차려주면
학생이 "아~ 선생님이 좋은 수업 준비해주셨구나."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
"그거 왜 해요?"
우리는 무슨 대답을 준비해야 할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