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월 일에 등교했어야 할 아이들은 아직까지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듣는다는 명목하에 합법적인 방콕을 하고 거행하고 있다. 이에 학부모님들의 민원도 적지 않고, 부모와 갈등을 겪고 있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하긴, 학생들이 수업을 실제 듣고 있는 건지, 영상을 틀어두기만 하고, 게임을 하는지...원격수업의 특성상 교사는 알 길이 없으니, 학교나 교사에서는 학생이 '틀어놓은' 영상의 진도율만 확인할 뿐이다.

학생들은 학교에 다니던 리듬을 잃었고,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올빼미 생활 습관이 자리매김 하였다.

고3등교를 한 고등학교의 한 선생님의 이야기에 따르면 , 아이들이 굉장히 피곤해 하며 등교개학을 완전히 받아들이고 생활하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한다.

"내 아니는 아니겠지?"

"아니다..당신 아이가 무기력한 그 아이 맞다."

학교에 등교를 하고도, 자리에만 앉아있을 뿐, 과제를 하는 것도, 그렇다고 노는 것도 아닌 ...그저 눈만 멀뚱멀뚱하게 뜨고 있는 학생들이 많다. 그 멀뚱함의 이유를 학생들은....이렇게 이야기 한다.

"어차피 노력해도 안되는데 뭐하러 해요..."

학부모들이나, 교사들은 이렇게 이야기 하겠지.

"해보지도 않고 어떻게 알아...?!!!!"

요즘 아이들 바보 아니다. 해봐도 될 것 같은 각(판단)이 안 서니까 안하는 거다.

 

이런 아이들이 한 둘이 아닌데 그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아이들에게 다가가야 할 지 교육학적 관점에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된 무기력감**

학생들이 어떤 노력과 행동에 비해 기대한 성취수준에 이르지 못하면 '욕구좌절'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사나 부모에 대한 공격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계속되는 학업실패와 좌절은 '학습된 무기력감 현상을 나타낸다.

 

 

*학습된 무기력감*을 갖는 아이들의 특성

1. 처음 과제를 시작할 때부터 성공에 대한 기대가 낮다

2. 어려움에 부딪히면 쉽게 포기한다.

3. 실패를 노력부족과 같은 스스로 통제 가능한 요인에 돌리지 않고, '능력부족'과 같은 통제 불가능 한 요인으로 귀인한다.

4. 성공을 자신의 능력이나 노력에 귀인하기 보다는 운이나 과제의 쉬움 같은 외적이고 통제불가능한 원인으로 돌린다.

5. 실패를 경험한 다음 미래의 성공에 대한 기대가 급속도로 낮아진다.

6. 학업적 자아개념이 매우 부정적이다.

7. 수동성, 우울, 인내성의 부족, 자기 통제성의 결여 등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8. 어떤 과업이 주어지면 실패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다.

 

이 학생들을 돕는 방법!!!!!!

 

1. 정기적으로 성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 학생들이 진지한 노력을 기울여 성장을 했을 때 그들의 노력을 인정하고 격려하며 계속적인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한다.

3. 학생들에게 자신의 학습활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하게 한다.

 

 

반응형
반응형

Weiner의 귀인이론은 (06초등,05중등,03중등,00초등,00보수 등 여러 차례 기출되었던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1. 개요

1) 학습자가 자신의 성공과 실패 행동에 대한 원인을 어디에 두느냐에 대한 경향성에 관한 이론

2) 학교에서 학생들이 그들의 성공과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

3) 기본 가정은 개인이 어떤 특정한 상황에서의 성취결과에 대하여 그 원인을 무엇으로 인식하느냐에 따라 다음 행동이

결정 된다고 본다.

- 성공과 실패에 대한 감정적 반응

- 미래에 있을 성공에 대한 기대

- 미래에 들일 노력

- 성취도

 

2. 학업성취에 대한 4가지 귀인요소

1) 능력 :나는 00을 잘해, 혹은 나는 00에 소질이 없어

2) 노력: 시험을 치르기 위해 노력했다. 혹은 하지 않았다

3) 과제난이도 : 과제가 어려웠다. 쉬웠다.

4) 행운 : 추측해서 맞은 것이 있다. 혹은 없다. 운이 좋았다. 혹은 나빴다.

 

3. 학업성취귀인의 세 차원

1) 원인 소재의 차원(통제소재)

(1)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학습자 내부에서 찾거나, 외부에서 찾는가에 따라

(2) 내적-외적 차원으로 분류

2) 원인의 안정성

(1) 성공과 실패의 원인이 시간의 경과나 상황이 바뀌어도 변하는가, 변하지 않는가에 따라

(2) 안정적-불안정적 차원으로 분류

3) 원인의 통제가능성(책임감)

(1)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학생의 의지에 따라 통제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2) 통제가능-불가능 차원으로 분류

 

 

*** 학습동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 외적요인보다는 내적 요인에 귀인시키도록 지도

- 안정적 요인보다는 불안정적 요인에 귀인하도록 지도

- 통제불가능한 요인보다는 통제가능한 요인에 귀인하도록 지도

 

4. 귀인이론의 시사점

- 학습과 수업에서의 성공과 실패에 대하여 학생이 그 원인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그 뒤의 학업에 대한 노력, 정서적 경험, 미래 과제에 대한 성공과 실패에 대한 기대 등이 달라진다는 것.

- 즉, 학습자의 성취결과에 대한 원인지각 내용을 알면 미래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고, 인과적 귀인을 바람직한 요인으로 변경시키면 미래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2019 중등교육학 기출문제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등장했다. 

지능이론은 과거 임용시험이 객관식일 때 빈번하게 기출되었던 부분이다. 2019년에 기출에 등장하였으니, 그 주변의 지능이론을 꼭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2019년 기출된 가드너의 지능이론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Gardner는 다중지능이론 적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전제를 제시하였다. 

 1) 서로 다른 지능을 소유한 학생들을 위해 수업방식을 다양화 할 것.

 2) 수업내용을 서로 다른 지능을 소유한 학생들이 잘 이해하는 방식으로 다양화하여 제시할 것.

 3) 각각의 능력의 차원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도록 돕는데 촛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2021 예상문제 (초,중등)

R.sternberg(스턴버그)의 삼원지능이론

개요 

 1) 스턴버그는 지적기능과 사고기능은 분리하기 어렵다고 전제하면서도 지능에 더 무게를 두고 진으에 대한 삼원이론을 제시하였다.

2) 지능의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로 실제생활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능력을 강조

3) 가드너의 이론이 지능을 구성하는 요소를 밝히려는데 비해 스턴버그는 지능의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밝히려는 과정이론이다. 

 

지능은 세 가지 인지적 부분들로 구성.

1) 성분적 요소 (처리요소) : 문제해결에 이용되는 기술

2) 경험적 요소 : 경험을 통해 지능이 수정되는 기제들

3) 맥락적 요소(상황요소) : 지능과 환경과의 연계

 

1. 성분적요소 (처리요소)

1)메타요소 :

 -문제해결이나 과제 완수시에 정신적, 신체적인 모든 행위를 조정하는 고등 제어의 과정. 

- 과제해결과정에서 피드백을 해석할 때 사용하는 전반적인 전략 . 고차적 정신과정

- 어떤 일을 계획하고, 점검하고 평가하는 요소

2)수행요소 :

-과제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정신과정. 메타요인의 지시를 수행하는 하위 수준의 과정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제를 입력시키고, 관계를 추리하고 가능한 해결전략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

3) 지식습득성분(획득요인)

- 새로운 것을 학습하는 정신과정

- 적절한 정보와 무관한 정보를 가려내는 것. 기존의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연결시키는 것 등이 포함된다. 

 

2. 경험적 요소 

- 경험을 통해 지능이 수정되는 것을 의미

- 개로운 문제에 당면했을 때, 낡고 부적절한 사고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체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통찰력이다.

- 경험은 새로운 과제를 처리하고 정보처리를 자동화할 수 있는 능력을 증ㅇ가시킨다.

 

3. 맥락적 요소(전이요인)

의미 :외부에 대응하는 능력으로 현실상황에서의 적응능력을 강조

ㄱ.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ㄴ. 환경을 변화시키는 능력

ㄷ. 적합한 환경을 선택하는 능력

 

 

 

스턴버그 삼원지능이론의 교육적 의의

1. 스턴버그는 지능은 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땅히 훈련시켜야 한다고 주장.

2. 지능이론가들은 측정도구를 세련화 시키는데에만 관심을 두지 말고 지능을 훈련하고 계발하는 데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