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라키움 전투에서 패배한 카이사르.
훨씬 더 많은 적을 향해 적은 수의 병력으로 포위작전을 펼친 카이사르.
애시당초 카이사르의 작전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시인을 했다면, 카이사르는 후세에 '책임전가'라는 오명을 받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카이사르에게는 후세의 평가, 아니 지금 현재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부대를 일으켜 새로운 전열을 가다듬을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카이사르는 병사들을 모아놓고 이야기 했다.
"ㅣ번 패배는 다른 어떤 것에 다 핑계를 대더라도, 나에게는 그 책임을 물을 수 없다. 나는 병사들에게 유리한 지형을 내놓았고, 적을 작전으로 유인했으며, 항상 어려운 상황에서도 승리를 이끌어왔다. 이번 패배는 너희(병사)들의 오판과 무책임의 증거이다" 라며 병사들을 다그쳤다. 병사들은 그런 카이사르에게 미움이나 반항심따위보다 정말로 ㄷ자신들의 책이므올 인한 패배에 부끄러움과 울분을 느끼고 있었다.
그것이 명장의 훈계를 받는 병사의 마음인가보다.

사람은 누구나..어려움을 겪었을 때
"내 책임이 아니야" 라고 생각을 하게 된다면 그 어려움을 극복할 힘을 내기 어려워진다. 내 책임이 아니니 더욱 노력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카이사르는 이 점을 이용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고, 전열을 가다듬기 위한 작전으로 연설을 한 것이다.

일장연설을 들은 병사들의 마음속엔 명장에게 패배를 안긴 치욕스러운 병사라는 부끄러움이 가득했고, 스스로 자처하여 처벌을 받기를 원했다.

카이사르는 로마의 형벌 중 가장 지독하다는 10분의 1형 (명 중 1명을 차출하여 나머지 9명이 때려죽이는 형벌)을 내렸다. 하지만 선언만 했을 뿐 미루고 미루어, 실제 형벌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카이사르는 디라키움 전투에서 많은 병력을 잃었고, 자신의 부하인 도메티우스의 병력과 합칠 필요가 있었다. 그러기 위해선 폼페이우스와 더 멀리 떨어져 도망을 쳐야하는 형세를 벌여야 했는데, 이때도 카이사르는 도메티우스와 병력을 합치는 것과 더불어 다른 목적을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카이사르는 한 가지 행동에, 한 가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는 사람이었다.

모든것이 부족한 상태에서 전쟁이 장기화되면, 모든 것이 풍족한 적에게 이로울 뿐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